※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sendto()를 사용 하다보니 bind()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그래서 sendto()와 bind()를 찾아보다 아래와 같은 좋은 글을 찾았습니다.
출처 : https://kldp.org/node/136920
질문 작성자 : asura327
UDP C/S socket 을 만들다 문득 궁금해서 여쭈어봅니다.
서버에서는 bind를 하는데
클라이언트에서는 bind를 하지 않는데 이러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이 어떻게 돌아가는 것인가요?
답변 작성자 : chadr
서버에서도 bind 안해도 됩니다. 항상 그러는 것은 아니고 bind의 목적이 무엇인지 생각해봐야합니다.
socket에 bind를 한다는 것은 socket에 address와 port를 연결 시킨다는 의미입니다.
즉... 외부에서 패킷이 들어왔을때 이 패킷을 어디로 보내야할지를 정하는 것입니다.
대충 기술하자면 아래와 같은 프로세스로 패킷이 어플리케이션에게 전달 됩니다.
1. 랜카드를 통해 패킷 수신
2. 랜카드 드라이버가 운영체제에게 패킷 전달
3. 운영체제는 소켓 리스트에서 패킷의 목적지 address와 port 번호와 일치하게 bind되어있는 소켓을 찾음
4. 찾았을 경우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게 전달
5. 어플리케이션은 recvfrom을 통해 읽음
따라서 bind를 해야하는 경우는 운영체제가 패킷을 어떻게 전달해야할지 모르는 경우에 해줘야합니다.
대부분 recvfrom을 먼저 호출하는 서버가 그렇습니다.
그런데 bind를 안해도 되는 경우는 sendto를 먼저 호출하는 경우는 안해도 됩니다.
sendto를 호출 할 때 인자로 주어지는 상대방 주소 정보를 참조하여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bind를 해주기 때문입니다.
-------------------------------------------------------------------------------
It's better to appear stupid and ask question than to be silent and remain stupid.
'프로그래밍 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이진파일과 텍스트파일 구분 (0) | 2014.10.05 |
---|---|
[java script] window.open(url,name, opction) (0) | 2014.09.17 |
[C] const 포인터 (0) | 2014.08.11 |
[C] 배열 초기화 방법 (0) | 2014.08.11 |
[C] __attribute__((packed)); 사용 하는 이유 (0) | 2014.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