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영체제

[Linux] NIS(Network Information system)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NIS(Network Information system)

/etc 디렉토리의 파일을 네트워크로 공유하는 가장 대표적인 네이밍 서비스로서 유닉스환경에서 시스템의 정보를 공유하는 표준 환경이다.

NIS를 사용할 때 가장 큰 장점은 네트워크를 비롯한 시스템의 중요한 설정 파일을 각각의 시스템이 독자적으로 가지고 있지 않고, 한 대의 시스템에서 가진 설정 파일을 NIS를 사용하는 모든 시스템이 공유한다는 점이다.

네트워크에 관련된 정보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서버 시스템에서 변경하면 클라이언트에서는 따로 변경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변경된 정보를 가져가고, 새로운 시스템이 추가되어도 NIS만 설정하면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나 사용자에 관한 정보는 NIS로부터 자동으로 가져오므로 간단하게 설정 할 수 있다.

 

Master Server에 필요한 패키지

ypxfrd, yppasswdd, ypserv, ypbind

Slave Server에 필요한 패키지

ypserv, ypbind

Client에 필요한 패키지

ypbind

-------------------------------------------------------------------------------------------------------------------------

NIS Master 서버 설정

※ Server는 서비스를 해주는 입장으로 Iptables 초기화 또는 NIS 포트를 활성화 해주어야한다.

※ Selinux를 비활성화 한다.

 

● /etc/hosts 파일 등록

<Server IP> <Server Hostname>

<Client IP> <Client Hostname>

<Client IP> <Client Hostname> …

 

● NISDomain, hostname 설정

#vi /etc/sysconfig/network

NETWORKING=yes

HOSTNAME=<local HOSTName>

GATEWAY=<gateway IP>

NISDOMAIN=<NIS Domain name>

 

● /etc/host.conf 설정

order hosts,nis,bind

multi on

 

● /etc/nsswitch.conf 설정

passwd: files nis nisplus

shadow: files nis nisplus

group: files nis nisplus

 

● /etc/yp.conf 설정

domain <NIS Domain Name> server <Server HostName>

domain <NIS Domain Name> boradcast

ypserver <Server HostName>

 

● NIS Master 설정

#/usr/lib64/yp/ypinit -m

(슬래이브가 있다면 슬래이브를 추가 입력 후 ctrl+d로 빠져 나오면 된다.)

(슬래이브가 없다면 그냥 ctrl+d로 빠져 나온다.)

(슬래이브를 구축 안 한 상태에서 슬래이브를 추가하고 서비스를 시작하면 ypbind가 동작을 안 한다)

 

● 서비스 시작 및 서비스 등록

#service ypxfrd start

#service yppsswdd start

#service ypserv start

#service ypbind start

#chkconfig ypxfrd on

#chkconfig yppsswdd on

#chkconfig ypserv on

#chkconfig ypbind on

 

● /var/yp/Makefile 설정(shadow 패스워드 인식)

변경 : MERGE_PASSWD=false

MERGE_GROUP=false

추가 : all: passwd shadow group …

 

● 정보 갱신

#make -C /var/yp

-------------------------------------------------------------------------------------------------------------------------

NIS Slave 서버 설정

※ Server는 서비스를 해주는 입장으로 Iptables 초기화 또는 NIS 포트를 활성화 해주어야한다.

※ Selinux를 비활성화 한다.

 

● /etc/hosts 파일 등록

<Server IP> <Server Hostname>

<Client IP> <Client Hostname>

<Client IP> <Client Hostname> …

 

● NISDomain, hostname 설정

#vi /etc/sysconfig/network

NETWORKING=yes

HOSTNAME=<local HOSTName>

GATEWAY=<gateway IP>

NISDOMAIN=<NIS Domain name>

 

● /etc/host.conf 설정

order hosts,nis,bind

multi on

 

● /etc/nsswitch.conf 설정

passwd: files nis nisplus

shadow: files nis nisplus

group: files nis nisplus

 

● /etc/yp.conf 설정

domain <NIS Domain Name> server <Server HostName>

domain <NIS Domain Name>

ypserver <Server HostName>

 

● 서비스 시작 및 서비스 등록

#service ypserv start

#service ypbind start

#chkconfig ypserv on

#chkconfig ypbind on

 

 

 

● NIS Slave 설정

#/usr/lib64/yp/ypinit -s <NIS Master Server HostName>

 

● /var/yp/Makefile 설정(shadow 패스워드 인식)

변경 : MERGE_PASSWD=false

MERGE_GROUP=false

추가 : all: passwd shadow group …

 

● 정보갱신

#/usr/lib64/yp/ypinit -s <NIS Master Server HostName>

 

*마스터가 정보를 갱신하게 되면 일반 클라이언트 및 슬레이브는 갱신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그런데 슬레이브에 있는 nis map 파일들이 갱신 되지 않으므로 슬레이브 설정을 통해 nis map파일을 갱신 시켜 주어야 한다.

NIS Slave 설정을 통해 nis map이 갱신 된다.

-------------------------------------------------------------------------------------------------------------------------

NIS Client 설정

● /etc/hosts 파일 등록

<Server IP> <Server Hostname>

<Client IP> <Client Hostname>

<Client IP> <Client Hostname> …

 

● NISDomain, hostname 설정

#vi /etc/sysconfig/network

NETWORKING=yes

HOSTNAME=<local HOSTName>

GATEWAY=<gateway IP>

NISDOMAIN=<NIS Domain name>

 

● /etc/host.conf 설정

order hosts,nis,bind

multi on

 

● /etc/nsswitch.conf 설정

passwd: files nis nisplus

shadow: files nis nisplus

group: files nis nisplus

 

● /etc/yp.conf 설정

server <Server HostName>

ypserver <Server HostName>

domain <NIS Domain Name>

domain <NIS Domain Name> server <Server HostName>

 

● /etc/sysconfig/authconfig 설정

USENIS=yes

 

● 서비스 시작 및 서비스 등록

#service ypbind start

#chkconfig ypbind on


-------------------------------------------------------------------------------------------------------------------------

NIS 명령

 - 현재 연결 되어 있는 NIS 서버 확인

 #ypwhich

 - 검색 명령

#ypcat -k [mapname]

ex)

#ypcat -k hosts

#ypcat -k auto.master

#ypcat -k passwd

#ypcat -k group

...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laris] solaris DHCP network setting  (0) 2016.06.03
[Linux] YUM  (0) 2016.06.03
[Linux] NIS client 설정  (0) 2016.06.02
[Linux] NIS slave 설정  (0) 2016.06.02
[Linux] NIS Server 설정  (0) 2016.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