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영체제

[Linux] YUM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YUM

Yellowdog Updater, Modified의 약어로서 rpm기반의 시스템을 위한 자동 업데이터 이자 패키지 설치/도구이다. 또한 YUM은 자동적으로 의존성을 처리해주며 rpm 패키지들을 안전하게 설치, 삭제 및 업데이트 하기 위해 반드시 해야 할 일을 스스로 해결 한다.

 

yum 명령어

명령어 설명
#yum check-update 현재 인스톨 된 프로그램 중에 업데이트 된 것을 체크 해줌.
#yum clean all 캐시 되어 있는 것을 모두 지운다.
#yum deplist Yum 패키지에 대한 의존성 검사
#yum downgrade [패키지] Yum을 통한 패키지 downgrade
#yum erase [패키지] Yum을 통한 시스템에서 삭제
#yum groupinfo [그룹] 그룹패키지의 정보 Disply
#yum groupinstall [그룹] 그룹 패키지 설치
#yum grouplist [그룹] 그룹 리스트에 관한 정보를 확인
#yum grouprmove [그룹] 그룹 리스트에 관해 삭제
#yum help Yum 도움말
#yum info [그룹 or 패키지] 패키지 또는 그룹의 패키지를 자세하게 출력
#yum install [패키지] 시스템으로 패키지 설치
#yum list 서버에 있는 그룹 및 패키지 리스트
#yum localinstall [패키지] 로컬에 설치
#yum makecasche 캐쉬를 다시 올린다.
#yum provides [파일경로명] 파일이 제공하는 패키지 정보 출력
#yum retunstall [패키지명] 패키지를 다시 설치
#yum update [패키지] 패키지를 업데이트
#yum upgrade [패키지] 패키지를 업그레이드
#yum repolist  

 

Yum 설정파일

파일 명 설정 파일
/etc/yum.conf yum 환경설정파일
/etc/yum.repos.d yum업데이트 및 설치를 위한 저장소(Repository)관련 파일들이 위치한 디렉토리
/var/log/yum.log yum 로그 파일

/etc/yum.repos.d/* 파일 설정 속성

속성 설명 비고
Name 저장소 이름. 보기 편한 이름으로 지정해도 됨. 필수,
Failovermethod ‘yum’ 명령은 baseurl에 적혀 있는 URL에 접속하는데, 이때 필요한 접속 방식을 정한다.
Priority roundrobin 중 하나를 설정 할 수 n있으며, 이 행의 설정 값을 생략하면 priority가 기본값이 된다.
Priroriyt는 이어서 나오는 basurl에 여러 개의 URL이 적혀 있다면 가장 먼저 적혀 있는 URL 부터 차례대로 접속을 시도한다. Roundrobin basurl 여러 개가 적혀 있는 url 중 임의로 선택된 URL 접속한다. ```````````````````````````````````````````````````````````````````````
 
Baseurl URL이 적혀 있어여 한다.
http, ftp(nfs, samba), file 3가지 중 하나가 오면 된다.
필수
Mirrorlist Baseurl에 설정 값이 생략 되어 있으면, 대신 mirrorlist에 적혀 있는 URL이 사용된다. Mirrorlist URL에는 전 세계에 분포된 여러 개의 저장소가 연결되어 있다.  
Enabled 이 저장소를 사용할지 여부를 지정 (1:사용, 0:미사용) 필수
Metadata_expire 다운로드 한 메타데이터(패키지의 목록)가 만료되는 기간을 지정  
Gpgcheck 패키지의 GPG 서명을 확인 할지 여부를 지정 (1:사용, 0:미사용) 필수

 

 

 

 

Repository 서버 구축 (nfs)

1. 디렉토리에 파일 확보

 

2. repodata 생성

2-1 디렉토리 2개 병합 생성 #createrepo [경로]

 

 

2-2 디렉토리 개별 생성

 

 

3. NFS, VSFTP, HTTP 설정 (경로를 repodata파일이 있는 경로로 지정해 준다.)

Repository 클라이언트 설정

1. 기존 생성파일 보존하고 새로운 repos 파일 생성

 

 

2. 파일 설정

 

3. 확인

 

 

* FTP : 서버 쪽에서 Pub 접속 경로만 변경

* HTTP: http.conf 에서 접속 경로만 변경

 

* nfs : 클라이언트에서 마운트 후 file:///으로 접근 사용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laris] Solaris STATIC network setting  (0) 2016.06.03
[Solaris] solaris DHCP network setting  (0) 2016.06.03
[Linux] NIS(Network Information system)  (0) 2016.06.02
[Linux] NIS client 설정  (0) 2016.06.02
[Linux] NIS slave 설정  (0) 2016.06.02